안녕하세요 미씨오입니다.
LAN에 대해 배운 내용 공유해드립니다.
이더넷 - 802.3 표준화
CSMA/CD(Carrier Sense, Multiple Access/Collision Detection)기법 - 충돌을 미리 피할 수 있게 했다.
전형적인 이더넷에는 모든 노드들이 물리적 매체에 직접 부착되어 있어서 다중접근을 가능하게 한 기법이다.
어느 한 노드가 다른 노드에게 데이터를 보낼 때 다른 모든 노드들도 그 데이터를 볼 수 있고, 어느 한 순간에는 한 노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다른 노드들과 늘 경쟁해야하는 상황이다. (노드A가 다른 노드들을 개의치 않고 데이터를 보낼 때 마침 노드 B도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 충돌이 일어나게 되고 데이터의 손상이 생길 수 있다)이를 막기 위해 전송감지가 필요하다.
하지만 노드가 많을 경우 노드를 기다리다가 시간이 지나서 전송을 못할 수도 있고, 한 순간에 두 노드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서 데이터가 충돌될 수 있으므로 충돌감지 기능도 필요하다.너무 많은 충돌이 일어나면 데이터 전송이 어려워진다. 이렇게 충돌의 영향을 받는 네트워크를 충돌영역으로 부른다.
물리층
- 이더넷은 물리층에서 단일 케이블로 연결되는데 이를 버스 아키텍처로 부른다.
- 네트워크에서는 아키텍처를 토폴로지로 구별한다.버스 토폴로지 확장이 어려운 편인데 새로운 노드를 추가(스케일러블하다)하려면 케이블을 재배치하거나 신호가 반향되지 않도록 버스라인 끝에 50옴의 저항인 터미네이터를 부착해 두어야한다.
- 버스 아키텍처의 불편을 없애기 위해서 허브라는 장치에 각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법이 스타 토폴로지이다. 허브는 일종의 멀티포트 리피터기능을 한다. 스타 토폴로지는 별도의 설정제한 없이 스케일러블해서 현재 대부분 사용하는 토폴로지이다.
데이터링크층
- CPU에게 인터럽트로 알려서 처리하게 하는 코드가 펌웨어로 내장되어 있다.
-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은 모든 노드들을 목적지로 해서 보내는 프레임으로 해당 영역 내의 모든 노드들이 이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받아서 CPU가 처리하게 하므로 네트워크 성능이 매우 떨어져 효율이 나빠진다. 이를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를 세그먼트로 분할 즉 적저한 크기로 목적에 맞게 노드들을 그룹화해서 여러 개의 충돌영역으로 쪼개는 것이 네트워크 설계에 있어서 중요하다.
이더넷과 케이블 종류
이더넷과 토큰링에서 자주 보는 UTP와 STP 케이블은 종류에 따라서 쌍으로 두 줄과 네 줄이 있는데 STP는 성능이 좋지만 가격이 비싸서 토큰링에서 주로 사용되고 대부분 이더넷에서는 UTP를 사용한다.
- UTP/STP 케이블 시리즈는 CAT(CATegory)로 분류하는데 cat1은 전화선에서 사용되고, cat3는 10BaseT에서 사용되며, CAT4는 토큰링, 그리고 CAT5가 패스트 이더넷용으로 사용되다가 기가비트 이너넷도 사용하는 추세 100BaseSX나 1000BaseLX/LH와 같은 기가비트 이더넷인 경우는 광케이블을 사용한다. CAT1에서의 연결 잭을 RJ-11이라고 부르고 이더넷용 연결 잭은 RJ-45로 부르는데 11보다 좀더 크다
- 케이블 TC나 브로드밴드 TV, 씬 네트워크와 시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은 RG로 분류하는데 씬 네트워크는 RG-58, 씨크 네트워크는 RG-8로 정의 되어 있다.
Thin |
동축케이블이 얇다 |
10Base10/T - 이더넷 거리를 말함 |
Thick |
조금 두껍다. |
10Base/200 - 185m까지 연결 |
Baseband |
속도는 느리지만 정확한 연결 |
|
Broadband |
넓은지역으로 전달 |
|
3. UTP/STP 케이블에서는 장치 연결에 따라서 Straight-through, cross-over, Rollover 방식이 있다.
UTP |
속도(bps) |
사용처 |
CAT1 |
1M |
음성 전화, ISDN BRI, 데이터용이 아님 |
CAT3 |
4M |
음성 전화와 10BaseT Ethernet에서 사용 |
CAT5 |
100M |
주로 100BaseTx Ethernet에서 사용 |
CAT5e |
1G |
CAT5와 유사, 전자기장을 줄이기 위해서 물리적 분리기가 4페어에 있음 |
토큰링
- IBM에서 고안,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안에 리피터가 들어있으므로 이더넷보다 비용이 더 들지만 안전하고 신뢰성 있고 빠르다. (802.5)
- 두 개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토큰링용 NIC가 따로 있어야 하고 케이블은 광케이블이나 STP를 사용하면 된다.
물리층
- MAU나 MSAU라는 장치 속으로 들어가 있다. 따라서 논리적으로는 링이지만 물리적으로는 스타형을 이룬다.
- CAT5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카드에는 포트가 2개 있어야 하므로 전용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.
FDDI(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)
- 100Mbps LAN을 위한 사양으로 토큰링과 유사한 토큰패스를 사용하지만 광케이블에서 동작하므로 백본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된다.
- 빛을 통해서 전송하므로 EMI나 RMI가 없고 전기신호도 없으므로 보안이 우수하다.
- 서로 반대방향으로 도는 이중 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1차 링이 고장 나도 2차 링을 통해서 즉시 프레임이 반대방향으로 계속해서 흐를 수 있게 하는 래핑 기법이 사용된다.
- SAS, DAS, 컨센트레이터 세가지 방식으로 연결된다.SAS는 컨센트레이터를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므로 직접 링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어서 SAS를 끄거나 제거해도 토큰은 네트워크에 영향을 끼치지 않은 채 다음 SAS나 DAS로 전달된다. 단 DAS가 고장시 네트워크가 정지하게 된다.
ATM(Astnchronous Transfer Mode)
- ATM은 WAN 프로토콜이지만 이를 이더넷이나 토큰링으로 에뮬레이트해서 LAN에서도 ATM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LANE(LAN Emulation)인데, 비용이 많이 들어서 실용성이 없다. 큰 데이터를 즉시 보내기 위해서 패킷대신 53바이트의 일정크기를 가진 셀 단위로 전송하는데 53바이트 중에서 48바이트가 데이터이고 나머지 5바이트는 ATM 헤더이다.
'지식 공유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스위치 (0) | 2019.07.25 |
---|---|
리피터, 허브, 브리지에 대해서 (0) | 2019.07.23 |
서브네팅 + 슈퍼네팅 + 무선네트워크 (0) | 2019.07.22 |
IP주소지정 + IPv6에 대한 간단한 이해 (0) | 2019.07.19 |
네트워킹과 OSI 모델 (0) | 2019.07.17 |